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잠 못 이루는 행성
- 황제신화
- 희망의 인문학
- 작은 변화를 위한 아름다운 선택
- 하늘가 바다끝
- 일년 내내 여자의 문장만 읽기로 했다
- 주름 대처법
- 인공낙태
- 존 쿳시
- 책읽아웃
- 자코테
- 이오지마의 편지
- 하상주 단대공정
- 폴 파머
- 출산서약서
- 자비에르
- 한평 반의 평화
- 이덕무
- 협재해수욕장 달리책방
- 즐거운 살인
- 채링크로스 84번지
- 이영록
- 이탁오평전
- 패배는 나의 힘
- 아이티
- 진실된 이야기
- 이찬규
- 한 도서관 한 책 읽기
- 키 큰 소나무에게 길을 묻다
- 잠들면 안 돼
- Today
- Total
목록책이 있는 풍경 (33)
마녀의 숨은 책방
권리는 그 자체로 유효한 것이 아니라 그에 상응하는 의무와의 관계 안에서만 유효하다. 권리의 행사는 그것을 소유한 개인에게서 비롯되는 것이 아니라 그들 자신이 특정한 의무를 갖고 있다고 여기는 사람들로부터 비롯되는 것이다. ㅡ시몬 베유,the need for roots 호이나키 책을 ..
김도언의 인터뷰집을 읽었다. 서정시를 쓰던 이문재 시인의 인터뷰가 가장 인상적이다. 시인은 시는 수사(레토릭)이 아니냐고 묻는 김도언에게 시가 왜 레토릭이냐고 반문하고, 정치에 대해서 왜 이야기하지 않느냐고 반문한다. 인터뷰 말미에 미국의 아나키스트 애먼 헤나시 이야기가 ..
서론 인간은 영웅성(heroism 삶의 한계에 부딪혔을 때 돌파하려는 인간의 존재론적 영웅저 자질)의 충동을 갖고 있다. 영웅성의 충동을 이해하기 위한 개념 중 하나가 나르시즘. 그것이 인간으로 하여금 포화속을 행진하게 만든다. 형제간 경쟁은 눈에 띄고 싶고 유일자가 되고 싶은 욕망 ..
아파서 빌빌대며 책만 조금씩 읽는다. 연재에 대비해 미리 책을 읽어두어야 해서 고른 책, <트라우마의 제국> 너도나도 트라우마를 이야기하는 현실이 불편했는데 이 책이 그런 시대상을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되었다. 저자들은 트라우마가 고통을 이야기하는 대명사가 되기까지의 역..
재미있는 책들을 여럿 읽었는데 메모를 해두지 않으면 아무것도 기억나지 않는다. <아주 낯선 상식>은 강준만, 홍세화의 글을 읽고 관심이 생겨 구입했다. 르네 지라르의 희생양 이론을 가져와 호남을 설명한 앞부분은 설익은 느낌이 물씬 풍겨 독서가 더뎠으나 그 다음부터는 터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