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녀의 숨은 책방

지구가 걱정될 때 본문

마녀의 독서처방

지구가 걱정될 때

노바리 2008. 5. 24. 12:29
 잠 못 이루는 행성』


 

.........사과나무를 심을까 기도를 할까 하다가 그저 책이나 읽기로 합니다. 물리학자 어네스트 지브로스키가 쓴『잠 못 이루는 행성』입니다.    


이 책의 부제는 ‘인간은 자연재해로부터 자유로울 수 있는가’입니다. 저자는 뉴턴의 결정론적 사고에서 카오스적 사고로 과학의 패러다임을 바꾸면 언젠가 자연재해로부터 자유로워질 수 있다고 말합니다. 과학이 자연재해를 해결할 수 있다고 장담은 안 합니다. 오히려 400쪽에 걸친 꼼꼼한 과학적, 기술공학적 분석을 통해 저자가 보여주는 것은 인간이 자연재해에 얼마나 취약한가 입니다. 과학기술의 발전과 함께 점점 더 취약해지는 게 아닌가 싶을 정도죠.

 

이 점은 고고학자 브라이언 페이건이 쓴『기후, 문명의 지도를 바꾸다』라는 책도 마찬가지입니다. 페이건은 문명이 발전하면서 자연 재앙에 대한 취약성 역시 더 커졌다고 말합니다. 메소포타미아, 이집트, 마야 문명이 그 증거입니다. 인간은 자연을 활용하고 통제하며 문명을 발전시키지만, 문명은 자연의 영향력을 벗어나지 못합니다. 남극에 지진이 일어나면 재해가 아닙니다. 서울에 지진이 일어났을 때 그 지각활동은 재앙이 됩니다. 어떤 점에선 인간이 자연재해를 만드는 것이지요.

..............

천재(天災)와 인재가 서로를 부추기는 일도 드물지 않습니다. 1889년 미국의 존스타운을 집어삼킨 홍수는 부실한 댐이 촉매 역할을 합니다. 댐의 소유자는 앤드류 카네기를 비롯한 그 지역 백만장자들의 모임인 ‘사냥과 낚시 클럽’이었습니다. 댐은 건설된 지 십년 만에 무용지물이 되었고, 관리 소홀로 점점 흉물, 아니 흉기가 되어갔습니다. 하류의 주민들은 댐의 위험성을 걱정했지만 댐 소유자들은 아무 조치도 취하지 않았습니다. 결국 폭우가 쏟아지고 댐이 무너졌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