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tice
Recent Posts
Recent Comments
Link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Tags
- 일년 내내 여자의 문장만 읽기로 했다
- 책읽아웃
- 진실된 이야기
- 한평 반의 평화
- 즐거운 살인
- 황제신화
- 자비에르
- 자코테
- 희망의 인문학
- 하늘가 바다끝
- 아이티
- 하상주 단대공정
- 이영록
- 한 도서관 한 책 읽기
- 잠들면 안 돼
- 폴 파머
- 작은 변화를 위한 아름다운 선택
- 출산서약서
- 주름 대처법
- 인공낙태
- 이덕무
- 채링크로스 84번지
- 패배는 나의 힘
- 협재해수욕장 달리책방
- 이찬규
- 잠 못 이루는 행성
- 키 큰 소나무에게 길을 묻다
- 존 쿳시
- 이탁오평전
- 이오지마의 편지
Archives
- Today
- Total
마녀의 숨은 책방
밑줄긋기 -전사의 시대 본문
나는 우리의 삶을 빚어내는 건 언어와 역사라고 생각한다. 지난 날 수습기자로서 어쩔 수 없이 써야 햇던 언어는 어떻게든 우리를 틀 속에 가두었으며, 우리는 세상과 우리 자신을 상투적 문구로 빚어내라고 배워온 게 아닌가 하는 의구심이 들었다. 그런 행위가 대개 우리의 삶을 규정하고, 우리 분노와 상상력을 파괴하며, 우릴를 부자나 정부 권위에 충성하도록 만든다는 의심을 품지 않을 수 없었다. 동시에 나는 우리 기자들이 도덕적 열정이나 분노의 감정을 가지고 중동에 대해 보도하지 못하는 원인 역시 기자로서 우리가 훈련받은 방식 때문이라고 믿게 되었다. p144-145
--영국 기자 로버트 피스크는 <전사의 시대>에서 언론이 쓰는 상투적인 문구들에 대해 여러 차례 신랄히 비판한다. 이스라엘이 팔레스타인인을 암살하면 '표적 살해'라고 표현하고 '안보'란 말은 항상 이스라엘과 연관지어서만 쓰는 등등의 상투적 표현들. 정말 맞다. 그런데 한국의 언론은 중동에 대해서는 영미 언론의 언어를 그대로 베껴쓰고 국내 뉴스에는 이보다 더 한심한 상투어들을 쓴다. 오늘 뉴스에 '꽃놀이패 잃은 야당'이란 표현을 본 순간 욕지기가 치밀었다. 정경유착, 뇌물 같은 국가의 심각한 부패 앞에서 고작 '꽃놀이패' 따위의 말이나 쓰고 있으니, 한심한 기자들의 한심한 언어다.
'책이 있는 풍경' 카테고리의 다른 글
독서회에서 배운 것 (0) | 2016.01.10 |
---|---|
강간을 피하는 10가지 방법 (0) | 2015.07.16 |
짧은 독후감, 아프리카 나우전 (0) | 2015.01.29 |
집단 트라우마를 대하는 노르웨이와 한국의 차이 (0) | 2014.10.08 |
우리는 모두 별이 남긴 먼지입니다 중에서 (0) | 2014.08.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