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잠 못 이루는 행성
- 존 쿳시
- 이찬규
- 이오지마의 편지
- 즐거운 살인
- 한 도서관 한 책 읽기
- 하늘가 바다끝
- 작은 변화를 위한 아름다운 선택
- 한평 반의 평화
- 인공낙태
- 패배는 나의 힘
- 출산서약서
- 이덕무
- 진실된 이야기
- 이영록
- 채링크로스 84번지
- 주름 대처법
- 아이티
- 자코테
- 폴 파머
- 희망의 인문학
- 황제신화
- 자비에르
- 키 큰 소나무에게 길을 묻다
- 이탁오평전
- 일년 내내 여자의 문장만 읽기로 했다
- 책읽아웃
- 하상주 단대공정
- 잠들면 안 돼
- 협재해수욕장 달리책방
- Today
- Total
마녀의 숨은 책방
짧은 독후감, 아프리카 나우전 본문
연재서평을 위해 부랴부랴 서점에 가서 신간을 샀다. <어제가 없는 남자 HM의 기억>과 <분열병과 인류>
<어제가 없는 남자>는 기대가 컸던 탓일까, 생각만큼 재미있지는 않았다. 헨리에타에 관한 책이 워낙 감동적이어서 그런 걸 기대했는데 이건 더 전문적이다. 뇌과학에 좀더 전문적인 지식 혹은 관심이 있다면 아주 흥미로웠으리라. 서평을 써야 한다는 부담이 없는 상태에서 다시 찬찬히 읽어야겠다.
<분열병과 인류>는 처음 몇 장을 읽고 번역이 거슬려서 사지 않았으나 문제의식이 남달라서ㅓ 결국 며칠 뒤 다시 홍익서점에 가서 사고 말았다. 그리고 며칠을 끙끙대 오늘 독후감을 써서 원고 마감을 하다. 출판사 서평은 서구 정신의학의 역사를 다룬 3장이 이 책의 백미라 하였으나 나는 에도시대를 분석한 2장이 더욱 눈에 들었다. 서구에서 정립된 정식의학의 이론을 가지고 자신의 역사, 사회를 분석한 그 정치함에 감탄하면서 읽었다. 아직도 프로이트의 가족로망스와 푸코의 광기의 역사를 번역하는 수준ㅇ에서 벗어나지 못한 한국의 지식 수준이 떠오르며 언제나 우리는 이런 수준의 작업을 할 수 있을까, 아득함마저 느꼈다. 특히 새마을운동의 전범이기도 한 니노미야 손토구의 철학을 분석하면서 그것이 가진 긍정적 힘과 함께 그 철학이 주변적인 것을 배제하면서 전쟁과 정치에 대한 반성을 차단한다는 대목은 오늘의 일본 정치를 이해하는 데 시사적이었다. 니노미야의 동상이 일본 초등학교의 교정에 놓인 것을 보고 박정희시대에 이순신이나 이승복어린이 동상을 세웠다는데, 어쩌면 이런 지적은 한국의 정치에도 적용되는 것 같다. 자신에게 버거운 사태에 대해서는 천재지변인 양 어쩔 수 없다고 치부해버리면서 반성하지 않는 태도.
이 책을 읽는 동안 서울시립미술관에서 <아프리카 나우전>을 보았다. 아프리카 현대미술을 한자리에 모은 흔지 않은 전시였는데 놀랍고 감탄스러웄다. 지난번 DMZ전시ㅣ 때도 느꼈지만 가장 정치적인 것에 민감해야 할 한국의 미술이 오히려 제 정체성을 고민하기보다는 서구의 유행을 좇는 데 반해 아프리카 현대 작가들은 자신의 정체를 토대로 가장 현대적이면서 독창적인 예술세계를 구축하는 것 같다. 그러고 보면 한국은 예술도 학문도 서구 유행만 번역하고 좇고 있는 듯하다. 그러다 보니 생기도 활력도 독창성도 정체성마저 없다. 남을 비판하는 게 아니라 결국 내 문제다. 내 글은 지금 무얼 하고 있는가. 나는 무얼 쓰고 뭘 고민하고 뭘 표현하고 있는가. 한심하다.
'책이 있는 풍경'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강간을 피하는 10가지 방법 (0) | 2015.07.16 |
---|---|
밑줄긋기 -전사의 시대 (0) | 2015.04.21 |
집단 트라우마를 대하는 노르웨이와 한국의 차이 (0) | 2014.10.08 |
우리는 모두 별이 남긴 먼지입니다 중에서 (0) | 2014.08.18 |
여자들, <전쟁정치>를 읽다 (0) | 2014.06.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