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작은 변화를 위한 아름다운 선택
- 인공낙태
- 출산서약서
- 이덕무
- 패배는 나의 힘
- 채링크로스 84번지
- 이영록
- 협재해수욕장 달리책방
- 하상주 단대공정
- 이오지마의 편지
- 한 도서관 한 책 읽기
- 잠 못 이루는 행성
- 잠들면 안 돼
- 자비에르
- 진실된 이야기
- 책읽아웃
- 아이티
- 존 쿳시
- 황제신화
- 이찬규
- 한평 반의 평화
- 자코테
- 폴 파머
- 이탁오평전
- 하늘가 바다끝
- 주름 대처법
- 즐거운 살인
- 키 큰 소나무에게 길을 묻다
- 일년 내내 여자의 문장만 읽기로 했다
- 희망의 인문학
- Today
- Total
마녀의 숨은 책방
물의 결가부좌 - 이문재 본문
거기 연못 있느냐
천 개의 달이 빠져도 꿈쩍 않는, 천 개의 달이 빠져나와도 끄떡 않는 고요하고 깊고 오랜 고임이 거기 아직도 있느냐
오늘도 거기 있어서
연의 씨앗을 연꽃이게 하고, 밤새 능수버들 늘어지게 하고, 올 여름에도 말간 소년 하나 끌어들일 참이냐
거기 오늘도 연못이 있어서
구름은 높은 만큼 깊이 비치고, 바람은 부는 만큼만 잔물결 일으키고, 넘치는 만큼만 흘러 넘치는, 고요하고 깊고 오래된 물의 결가부좌가 오늘 같은 열엿샛날 신새벽에도 눈뜨고 있느냐
눈뜨고 있어서, 보름달이 우는 이 신새벽
누가 소리 없이 뗏목을 밀지 않느냐, 뗏목에 엎드려 연꽃 사이로 나아가지 않느냐, 연못의 중심으로 스며들지 않느냐, 수천수만의 연꽃들이 몸 여는 소리 들으려, 제 온몸을 넓은 귀로 만드는 사내, 거기 있느냐
어둠이 물의 정수리에서 떠나는 소리
달빛이 뒤돌아서는 소리, 이슬이 연꽃 속으로 스며드는 소리, 이슬이 연잎에서 둥글게 말리는 소리, 연잎이 이슬방울을 버리는 소리, 연근이 물을 빨아올리는 소리, 잉어가 부레를 크게 하는 소리, 진흙이 뿌리를 받아들이는 소리, 조금 더워진 물이 수면 쪽으로 올라가는 소리, 뱀장어 꼬리가 연의 뿌리들을 건드리는 소리, 연꽃이 제 머리를 동쪽으로 내미는 소리, 소금쟁이가 물 위를 걷는 소리, 물잠자리가 제 날개가 있는지 알아보려 한 번 날개를 접어보는 소리―
소리, 모든 소리들은 자욱한 비린 물 냄새 속으로
신새벽 희박한 빛 속으로, 신새벽 바닥까지 내려간 기온 속으로, 피어오르는 물안개 속으로 제 길을 내고 있으려니, 사방으로, 앞으로 나아가고 있으리니
어서 연못으로 나가 보아라
연못 한가운데 뗏목 하나 보이느냐, 뗏목 한가운데 거기 한 남자가 엎드렸던 하얀 마른자리 보이느냐, 남자가 벗어놓고 간 눈썹이 보이느냐, 연잎보다 커다란 귀가 보이느냐, 연꽃의 지문, 연꽃의 입술 자국이 보이느냐, 연꽃의 단 냄새가 바람 끝에 실리느냐
고개 들어 보라
이런 날 새벽이면 하늘에 해와 달이 함께 떠 있거늘, 서쪽에는 핏기 없는 보름달이 지고, 동쪽에는 시뻘건 해가 떠오르거늘, 이렇게 하루가 오고, 한 달이 가고, 한 해가 오고, 모든 한살이들이 오고가는 것이거늘, 거기, 물이, 아무 일도 아니라는 듯, 다시 결가부좌 트는 것이 보이느냐
*전에는 그런 생각을 한 적이 없는데 요즘 부쩍 시도 소설도 발전을 하는 것 같다는 생각을 한다. 역사의 발전조차 믿지 않는 내가 느닷없이 문학이 발전한다는 생각을 하게 된 것은 요즘 읽은 작품들이 참 좋아서다. 토니 모리슨의 <빌러비드>가 시작이었다. 흔히 고전문학을 최고로 치지만 과연 그럴까 의심이 들었다. 도스토예프스키 전집을 거의 다 읽었을 만큼 그에게 빠진 적도 있지만 내용, 형식, 사상 이 모든 것이 어우러진 한 편의 문학작품으로 따지면 <빌러비드>가 낫지 않나 싶었다. 얼마 전 황정은의 '상류엔 맹금류'도 그랬다. 단편은 옛날 것이 최고라고 여겼는데 이걸 읽고 곱씹을수록 고개가 숙여졌다.
이문재의 '물의 결가부좌'는 시에서 그런 마음을 갖게 한 작품이다. 연못을 두고 물이 결가부좌를 튼다는 발견부터가 기막히기도 하거니와 시 전편에서 가슴으로 전해지는 감동이 저릿저릿하다. 발전이란 말이 우습지만 그만큼 요즘 작가들에게서 새삼 감동을 느꼈고, 세상이 참 점점 비루해지기만 하는 것 같아도 이런 작품들, 그런 걸 쓰느라 애쓰는 작가들을 생각하면 꼭 그런 것이 아니구나, 깨닫게 된다.
'정수리에 시 한 줄' 카테고리의 다른 글
매일 시 한 줄 -11.27 (0) | 2015.11.27 |
---|---|
책이 무거운 이유 (0) | 2015.02.27 |
소망 - 뒤르가 랄 쉬레스타 (0) | 2014.06.29 |
왜 시를 읽느냐 묻는다면 -시를 읽지 않는 그대에게 (0) | 2013.09.12 |
책 속의 문장 (0) | 2013.01.31 |